굿을 포함하는 여섯 글자 이상의 단어: 84개

한 글자:1개 두 글자:85개 세 글자:268개 네 글자:123개 다섯 글자:78개 👍여섯 글자 이상: 84개 모든 글자:639개

  • 빚 얻어 굿하니 맏며느리 춤춘다 : (1)없는 형편에 빚까지 내서 굿을 하니 맏며느리가 분수 없이 굿판에 뛰어들어 춤을 춘다는 뜻으로, 어렵게 된 일을 잘하려고 노력하여야 할 사람이 도리어 엉뚱한 행동을 한다는 말. <동의 속담> ‘논 팔아 굿하니 맏며느리 춤추더라’
  • 교방 굿거리 춤 : (1)고려에서 조선 시대까지, 관기 제도에 따라 교방에서 전해 내려온 춤.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며, 춤사위가 매우 차분하면서 섬세하고 애절하다.
  • 떡 본 김에 굿한다 : (1)우연히 운 좋은 기회에, 하려던 일을 해치운다는 말. <동의 속담>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소매 긴 김에 춤춘다’
  •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 (1)일이 다 끝나거나 결정된 후에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 마친[지낸] 뒷장구’ ‘굿한 뒷장구’
  • 쿵그렁하면 굿만 여기고 선산 무당이 춤춘다 : (1)쿵그렁 소리만 나도 굿 소리인가 하여 선산 무당이 춤을 춘다는 뜻으로, 얼씬만 하면 무슨 좋은 수나 생긴 듯이 떠들썩하게 수선거리고 공연히 날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딸의 굿에 가도 전대가 셋(이다) : (1)아무리 남을 위하여 하는 일이라도 자기의 이익을 바라게 된다는 말. <동의 속담> ‘딸의 굿에를 가도 자루 아홉을 가지고 간다’
  • 오스굿ㆍ슐라터병 : (1)‘정강뼈 거친면 뼈연골증’의 전 용어.
  • 남해안 별신굿 : (1)남해안의 거제, 통영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 마을과 도서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별신굿.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는 굿으로, 주로 음력 정월 초에 거행된다.
  • 외손자를 귀애하느니 방앗공이[절굿공이]를 귀애하지 : (1)외손자는 아무리 귀여워하고 공을 들여도 귀여워한 보람이 없다는 말. <동의 속담> ‘외손자를 보아 주느니 파밭을 매지’
  • 평안도 다리굿 : (1)고려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도 지방에 정착된 사령 천도굿.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이 죽은 뒤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 긴오채질굿장단 : (1)전라도 풍물놀이 장단인 오채질굿장단을 길게 치는 장단.
  • 곽머리 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출상 전날에 관 앞에서 한다.
  • 롱 키스 굿 나잇 : (1)외국 프로 레슬링에서 사용하는 기술 가운데 하나. 뒤로 돌면서 발차기를 하여 상대의 얼굴을 가격하는 기술이다. ⇒규범 표기는 ‘롱 키스 굿 나이트’이다.
  • 동해안 별신굿 : (1)동해안 일대에서 해마다 또는 몇 해 만에 부락제 및 풍어제로 무당이 주관하여 베푸는 굿. 모두 열아홉 거리로, 이 가운데 탈놀이는 네 마당으로 되어 있다.
  • 꽃맞이굿하다 : (1)꽃이 필 무렵에, 무당이 자신의 몸주에게 굿을 하다. 봄에 무당이 자신의 영력(靈力)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다.
  •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 (1)떡을 가지고 올까 하고 굿에 간 어미를 기다리는 아이처럼, 어떤 일에 희망이 있을 때 몹시 초조하게 기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어린 아들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 굿스타인의 정리 : (1)모든 굿스타인 수열은 0으로 끝난다는 내용의 정리.
  • 큰일 치른 집에 저녁거리 있고 큰굿 한 집에 저녁거리 없다 : (1)굿을 하는 데는 재물이 많이 들 뿐 아니라 무당이 모조리 가져간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잔치를 하는 집은 여유가 있으나 굿을 하는 집은 살림이 쪼들리는 법임을 이르는 말.
  • 날받이 씻김굿 :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풀지 못하고 죽은 사람의 넋 때문에 집안에 탈이 생길 때, 그 넋을 위로하려고 점쟁이에게 날을 받아서 한다.
  • 굿굿하다 : (1)여럿이 다 고개를 조금 숙이다. (2)여럿이 다 고개를 조금 숙인 듯하다.
  • 양주 소놀이굿 : (1)경기도 양주에 전승되는 굿. 농사나 사업이 잘되고 자손이 번창하기를 비는 굿으로, 제석거리에 이어 무당과 마부의 대화, 마부의 소리, 덕담, 마부와 소의 동작 따위로 엮어진다.
  • 긴날개멸굿 : (1)곤충강 매미목의 한 과. 두부가 흉부보다 좁으며, 앞날개는 길고 뒷날개는 짧다. 고려긴날개멸구, 깨다시긴날개멸구 따위가 있는데 주로 열대에 분포한다.
  • 논 팔아 굿하니 맏며느리 춤추더라 : (1)없는 형편에 빚까지 내서 굿을 하니 맏며느리가 분수 없이 굿판에 뛰어들어 춤을 춘다는 뜻으로, 어렵게 된 일을 잘하려고 노력하여야 할 사람이 도리어 엉뚱한 행동을 한다는 말. <동의 속담> ‘빚 얻어 굿하니 맏며느리 춤춘다’
  • 굿한다고 마음 놓으랴 : (1)정성을 들였다고 해서 결과를 안심할 수는 없다는 말. <동의 속담> ‘정성을 들였다고 마음을 놓지 마라’
  • 동부노굿 일다 : (1)동부의 꽃이 피다.
  • 굿이어 웰트 제법 : (1)구두를 만들 때 갑피와 창, 대다리를 함께 박는 방법. 구두 바깥쪽에 꿰맨 실땀이 보이며, 실용적인 구두 제작에 이용된다. 굿이어(Goodyear, C. JR.)가 개발한 기계를 사용하여 대다리 부분을 박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 덩덩하니 굿만 여겨 : (1)무엇이 얼씬만 하여도 좋은 일이나 구경거리가 있는 줄 알고 속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덩덩하니 문 너머 굿인 줄 아느냐’
  • 먹던 떡도 아니고 보던 굿도 아니다 : (1)익숙한 것이 아니라는 말.
  • 갓장이 헌 갓 쓰고 무당 남 빌려 굿하고 : (1)제가 제 것을 만들어 가지지 못하고 제가 제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프리티 굿 프라이버시 : (1)공개 키 방식의 암호화 이론 방식을 이용하여 사전에 암호 해독에 필요한 암호 키 교환 없이 안전하게 이메일, 데이터 따위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그램. 도스, 유닉스를 포함하여 여러 시스템에서 널리 쓰이는 암호화 프로그램으로, 자료 암호화를 통해 수신자 이외에는 해당 자료를 볼 수 없도록 강력한 보안을 지원한다.
  • 소대감놀이굿 : (1)서해안 지방에서 행하던 놀이굿. 무당이 며느리와 시누이, 봉사 역 등을 하며 덕담과 재담을 늘어놓고 난봉가 따위를 부르면서 제주의 복을 빌어 준다.
  • 굿공이가 순경(巡更) 돌면 집안이 망한다 : (1)결혼한 여자가 집안 살림은 아니 하고 쏘다니기만 하면 그 집안 꼴이 안된다는 말.
  • 자진오채질굿장단 : (1)전라도 풍물놀이 장단인 오채질굿장단을 빨리 치는 장단.
  • 굿 본 거위 죽는다 : (1)남의 일에 쓸데없이 끼어들었다가 봉변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1)자기가 평소에 매우 좋아하거나 원하던 일을 하게 되어 신이 나서 좋아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주 칠머리당굿 : (1)제주 해안 부락에 전하여 내려오는 영등굿놀이의 하나. 해녀들이 영등할머니에게 그해의 해산물이 풍요롭고 어업이 잘되기를 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이다.
  • 굿파스처 염색 : (1)과산화 수소 반응을 이용하여 그람 음성 세균을 염색하는 방법. 아닐린 푹신을 사용한다.
  •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 (1)떡을 가지고 올까 하고 굿에 간 어미를 기다리는 아이처럼, 어떤 일에 희망이 있을 때 몹시 초조하게 기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어린 아들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 경기도 도당굿 : (1)수원, 인천과 한강 이북 지역에서 수호신을 위하여 벌이는 마을굿. 정월 초에 하기도 하고 봄가을에 정기적으로 하기도 한다.
  • 검은 개 굿 구경 : (1)검은 개가 굿판에 와서 멋없이 서 있듯이 아무런 목적과 타산 없이 어떤 일에 참여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검정개 굿 구경’
  • 굿 모닝 미스터 오웰 : (1)백남준이 1984년에 발표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생중계 작품. 기술이 인간을 지배하는 미래 사회의 암울한 모습을 보여 주는 오웰의 소설 <1984년>은 절반만 맞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공위성이 상호 소통적인 예술 매체로 활용되는 모습을 라이브 영상으로 표현하여, 기술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 주려고 하였다.
  • 무당이 제 굿 못하고 소경이 저 죽을 날 모른다 : (1)남의 일은 잘 처리하여도 자기 일은 자기가 처리하기 어렵다는 말.
  • 한 냥짜리 굿하다가 백 냥짜리 징 깨뜨린다 : (1)쓸데없이 공연한 일을 벌여 놓았다가 굉장히 큰 손해를 보게 되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굿굿하다 : (1)‘뿔긋뿔긋하다’의 방언
  • 굿하다 파한 집 같다 : (1)한참 법석이던 일이 있은 뒤 갑자기 고요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해 먹은 집 같다’
  •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 (1)제주 해안 부락에 전하여 내려오는 영등굿놀이의 하나. 해녀들이 영등할머니에게 그해의 해산물이 풍요롭고 어업이 잘되기를 빈다.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71호.
  • 굿 플레잉 타임 : (1)크리스마스나 연말 따위처럼 많은 관객이 영화를 관람하는 시기. 높은 흥행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영 기간이다.
  • 벌여 놓은 굿 : (1)이미 시작한 일이라 중간에 그만둘 수 없는 처지의 일을 이르는 말.
  • 롱 키스 굿 나이트 : (1)외국 프로 레슬링에서 사용하는 기술 가운데 하나. 뒤로 돌면서 발차기를 하여 상대의 얼굴을 가격하는 기술이다.
  • 날받이씻금굿 : (1)‘날받이 씻김굿’의 방언
  • 굿하고 싶어도 맏며느리 춤추는 꼴 보기 싫다 : (1)무엇을 하려고 할 때에 미운 사람이 따라나서 기뻐하는 것이 보기가 싫어 하기를 꺼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지[먹으면 된다] : (1)남의 일에 쓸데없는 간섭을 하지 말고 되어 가는 형편을 보고 있다가 이익이나 얻도록 하라는 말.
  • 굿해 먹은 집 같다 : (1)한참 법석이던 일이 있은 뒤 갑자기 고요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하다 파한 집 같다’
  • 굿 마친[지낸] 뒷장구 : (1)일이 다 끝나거나 결정된 후에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한 뒷장구’
  •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 (1)황해도 평산 지방에서 전승되는 마을 단위 굿 형식의 연희. 경사굿 가운데 제석거리에 이어 행하여지며, 농사나 사업, 장사의 번영을 빌거나 자손의 번창을 비는 놀음굿이다. 소를 부리는 요령이나 쟁기와 보습을 맞추는 법을 가르치는 대목 따위가 있어 농경의례의 성격도 띤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90호.
  • 싸움해 이(利)한 데 없고 굿해 해(害)한 데 없다 : (1)액을 쫓는 굿은 아무리 많이 해도 괜찮지만 싸움은 절대 할 것이 못 된다는 말.
  • 굿에는 춤추기 어렵다 : (1)어떤 일을 주관하는 사람이 많아 누구의 말을 따라야 할지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그 장단 춤추기 어렵다’ ‘어느 장단에 춤추랴’ ‘이날 춤추기 어렵다’
  • 오채질굿장단 : (1)전라도 우도 풍물놀이 장단의 하나. 오채는 징을 다섯 번 친다는 뜻이다.
  • 굿 보고 떡 먹기 : (1)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상의 이익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꿩 먹고 알 먹는다[먹기]’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꿩 먹고 알 먹고 둥지 털어 불 땐다’ ‘알로 먹고 꿩으로 먹는다’
  • 굿대당기기 : (1)강강술래의 한 대목. 놀이꾼들이 두 패로 나뉘어 가운데에 절굿공이를 넣고 한 줄로 서서 맨 앞사람이 양쪽 끝을 각각 잡으면 뒷사람들은 그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잡아당긴다.
  • 위도 띠뱃굿놀이 : (1)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전해 오는 민속놀이. 정월 초사흗날 바닷가 당집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띠로 만든 배에 허수아비를 실어 보내 묵은해의 불행한 운수를 씻어 낸다.
  • 굿 소리 듣듯 : (1)소는 굿하는 소리를 들어도 그것이 무엇인지 전혀 알아듣지 못한다는 데서 늘 보고 듣는 것에 대하여 무관심하고 모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남이 애써 하는 말을 무심하게 듣고만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검정개 굿 구경 : (1)검정개가 굿판에 와서 멋없이 서 있듯이 아무런 목적과 타산 없이 어떤 일에 참여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검은 개 굿 구경’
  • 어린 아들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 (1)떡을 가지고 올까 하고 굿에 간 어미를 기다리는 아이처럼, 어떤 일에 희망이 있을 때 몹시 초조하게 기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굿에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 하회 별신굿 탈놀이 : (1)경상북도 안동시 하회 마을에 전승되어 오는 탈놀이. 음력 정초에 서낭제를 지내면서 행하던 것으로, 파계승과 양반을 풍자하고 서민의 가난한 현실을 보여 주는 따위의 내용을 담은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69호.
  • 메밀떡 굿에 쌍장구 치랴 : (1)처지와 형편에 맞지 않게 크게 일을 떠벌이면 안 된다는 말.
  • 굿굿허다 : (1)‘울긋불긋하다’의 방언
  • 딸의 굿에를 가도 자루 아홉을 가지고 간다 : (1)아무리 남을 위하여 하는 일이라도 자기의 이익을 바라게 된다는 말. <동의 속담> ‘딸의 굿에 가도 전대가 셋(이다)’
  • 굿모닝 러브타운 : (1)1984년 뉴욕에서 초연된 뮤지컬 작품. 우리에게는 <동방 박사의 선물(The Gifts of the Magi)>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 서해안 대동굿 : (1)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일대에서, 음력 1월과 2월에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빌며 벌이던 마을굿.
  •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 (1)무슨 일이든 착수를 하면 참고 견디어 끝장을 보아야 한다는 말.
  • 만만한 년은 제 서방 굿도 못 본다 : (1)사람이 변변치 못하면 응당 제가 차지하여야 할 것까지도 차지하지 못하고 놓친다는 말.
  • 양진명소 오룡굿 : (1)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탄금대 아래의 양진명소라는 나루터에서 무당이 다섯 용에게 제사 지내던 굿. 영신(迎神)굿, 오신(娛神)굿, 송신(送神)굿으로 이루어진다.
  • 봉사 씨름굿 보기 : (1)아무리 보아도 그 진미(眞美)를 알아볼 능력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봉사 단청 구경’ ‘소경 관등(觀燈) 가듯’ ‘봉사 굿 보기’ ‘봉사 등불 쳐다보듯’ ‘소경 단청 구경’ ‘장님 등불 쳐다보듯’ ‘장님 은빛 보기다[보듯]’
  • 덩덩하니 문 너머 굿인 줄 아느냐 : (1)무엇이 얼씬만 하여도 좋은 일이나 구경거리가 있는 줄 알고 속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덩덩하니 굿만 여겨’
  • 굿 못하는 무당 장구 타박한다 : (1)자기의 재간이 모자라는 것은 생각하지 아니하고 객관적인 조건만 탓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글 못한 놈 붓 고른다’ ‘글 잘 못 쓰는 사람은 붓 타박을 하고 농사 지을 줄 모르는 사람은 밭 타박을 한다’ ‘글 잘 못 쓰는 사람은 붓 타박을 하고 총 쏠 줄 모르는 사람은 총 타박을 한다’
  • 굿파스처 증후군 : (1)신장의 사구체에 염증이 생기고, 폐에서 많은 양의 출혈이 일어나는 자가 면역 질환. 호흡기 감염증, 각종 폐 침윤, 혈담 객출과 빈혈로 시작된 후에, 혈뇨, 단백뇨, 고혈압과 진행성 질소 혈증을 수반한다.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진행이 빨라서 치사율이 높은 편이다.
  • 어리수굿하다 : (1)겉모습이나 언행이 치밀하지 못하여 순진하고 어설픈 데가 있다. ⇒규범 표기는 ‘어수룩하다’이다. (2)제도나 규율에 의한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 매우 느슨하다. ⇒규범 표기는 ‘어수룩하다’이다.
  • 굿 모닝 하트에이크 : (1)미국의 히긴버샘(IHigginbotham, I.), 드레이크(Drake, E.), 피셔(Fisher, D.)가 1946년에 공동으로 작곡한 재즈 스탠다드. 1946년 1월 22일 데카 레코드사를 통해 발매된 홀리데이(Holiday, B.) 버전이 큰 인기를 끌었다.
  • 계전기 보증 복굿 : (1)전력 시스템이 정상이면 모든 계전기들이 정상 상태로 되는 특별한 작동값.
  • 홀아비 굿 날 물려 가듯 : (1)홀아비가 온갖 음식을 장만하여 굿하는 것이 거추장스러워서 굿 날을 자꾸 미루듯이, 무슨 일을 예정하였다가 자꾸 뒤로 미루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홀아비 법사 끌듯’
  • 굿 디자인 마크 : (1)여러 제품의 디자인 가운데 좋은 디자인으로 인정받은 상품에 붙이는 우수 디자인 마크. 제품의 디자인, 기능, 안정성, 품질 따위를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우수성을 인정받으면 이 마크를 붙여 판매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 10월에 처음으로 시행하였다.
  • 서해안 배연신굿 : (1)서해안 지역에서 배 주인이 배의 안전과 풍어, 집안의 번창을 빌며 벌이던 무당굿. 바다에 배를 띄우고 배 위에서 지냈다.
  •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 (1)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상의 이익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꿩 먹고 알 먹는다[먹기]’ ‘굿 보고 떡 먹기’ ‘꿩 먹고 알 먹고 둥지 털어 불 땐다’ ‘알로 먹고 꿩으로 먹는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 (99개) : 굿, 굿갈리다, 굿감독, 굿거, 굿거리, 굿거리가락, 굿거리굿, 굿거리 시조, 굿거리장단, 굿거리춤, 굿 거버넌스, 굿것, 굿게, 굿 구경 간 어미 기다리듯,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굿극, 굿길, 굿 나이트, 굿 나잇, 굿놀음, 굿 놀이, 굿단두리, 굿단속, 굿단속하다, 굿당, 굿덕대, 굿도 볼 겸 떡도 먹을 겸, 굿돌, 굿 뒤에 날장구[쌍장구] (친다), 굿 들은 무당 재 들은 중 ...
굿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굿을 포함하는 여섯 글자 이상 단어는 8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